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다람쥐 키우기][2일차] 새 집으로 입주!

하루 동안 좁디 좁은 이동장에서 보내느라 고생한 SIMBA

오늘 드디어 새 집으로 입주하였습니다.





심바의 보금자리입니다. 

2층 구조이며 입구는 천장 구멍을 통해 들어올 수 있습니다.

사진 만으로는 구조가 알기 어렵죠 -0-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옆면과 천장을 붙이고

2층 구조물도 같이 붙여버렸습니다 -0-





간밤에 해먹도 만들어 주었습니다.

(군 전역하고서는 거의 바느질을 해본 적이 없는데...)

blog.naver.com/risu521 여기 블로그를 참고해서 해먹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뭔가 이상하죠?

네... 맞습니다...

산세베리아입니다.

심바가 갉아먹거나 다 파헤치지는 않을까 

걱정하며 넣었습니다.

애초에 다람쥐 집 설계할 때 염두에 두었던 부분입니다.

조금 더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어주자는......


본격 입주를 앞두고 있는 "심바"!

입주하는 과정에서 용캐도 빠져나와 잡느라 꽤 고생을 했습니다.

아직 경계심이 많은지 계속 구석만 찾더라고요.


처음 들어갔을 때에는 생각처럼 잘 안 움직이더라고요.

상하 운동을 많이 한다는데 계속 흙 위에서 왔다갔다만...


3그루 중 한 그루는 이미 뿌리가 파헤쳐져서 넘어져있습니다...


시간이 조금 지나니 이리저리 움직이더군요.


결국엔 둥지 속에 쳐박...

한참을 둬도 안나오길래 열어보니 저러고 있더라고요;;;

억지로 일으켜주니 또 이리저리 뛰어다니고...

일단 적응할 때 까지는 내비둬야 겠어요... ㅠㅠ

애써 만들어 준 구조물에 안 올라가면 어쩌나 했는데 다행히 잘 이용해줍니다.




지금은 해먹에서 도통 나오질 않고 있네요 -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니 메추리 키우기 - 사육장 만들기

미니 메추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 메추리보다 조금 작은 개체입니다. 버튼퀼(버튼퀘일)이라고도 불리죠. 일반 메추리보다 작기도 하고 짝이 맞는 암수가 같이 있으면 그리 시끄럽지도 않습니다. 여러 모로 키우기가 좀더 수월하죠. 첫 번째 단계로 먼저 아이들이 지낼 집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사실 여러 고민을 많이 했어요 지금 소개하는 집을 만들기 전에는 120L 짜리 대형 리빙 박스로 집을 만들어 주었었죠. 값이 저렴하고 개량하는 것이 크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리빙 박스를 개조하여 집을 만들어 주고 있어요. 저 같은 경우는 보온을 생각해서 안쪽에는 단열재를 덧대기도 했죠. 하지만 사실 리빙 박스로 집을 만드는게 아주 쉽지만은 않아요. 물론 있는 그대로를 사용하신다면 어려울 건 전혀 없죠. 그런데 만약 전구를 달기 위해 구멍을 뚫거나, 환기 구멍을 뚫거나 기타 여러 필요에 의해 리빙 박스를 뜯어 고쳐야 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지죠. 저도 사실 이런 불편함에 고민고민을 하다가 오늘 소개해 드릴 두 번째 집과 같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어요. 바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종이 박스를 활용한 것인데요. 위쪽 뚜껑에는 구멍을 두 개를 뚫었어요. 작은 구멍은 온도 조절을 위한 전구 바로 위쪽으로 온도가 너무 올라갈 경우 온도 조절을 위해 뚫어 놓았고요.  아래 좀더 큰 구멍은 물, 먹이 등을 교체해주기 위한 구멍이에요.  정면에는 창을 내어 관찰할 수 있게 했어요. 지금은 저 가운데도 잘라내서 크게 창 하나로 만들었어요. 안쪽에는 온도계를 비치하여 내부 온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해두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전구 바로 아래쪽에 위치한 탓에 제대로 된 온도 측정이 될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보셔서 아시겠지만, 내부 ...

[수경재배] 원룸 실내 상추 키우기 - 상추 파종

날이 조금 풀린 것도 같고, 실내 온도가 18도 정도는 되는 것 같아서 다시 실내 상추 키우기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처음 시도했을 때에는 아는 것도 없고 따로 관심을 갖지 않고 될대로 되라는 식으로 키우는 바람에 큰 성과가 없었어요. 그래서 이번 두 번째 시도는 좀더 관심을 갖고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1. 먼저 상추 씨앗을 스폰지 위에 가지런히 올려줍니다. 씨앗을 2개 이상 올려준 이유는 혹여나 씨앗이 발아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서 입니다. 저 스폰지는 ' 수경재배 스펀지 '로 검색하면 쉽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는 잘 안보이지만 십자가로 홈이 있어서 나중에 작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어요.  2. 그리고 미리 준비한 그릇에 스펀지들을 넣어줍니다. 스펀지들이 물을 충분히 흡수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3. 그 위에 휴지를 얇게 얹고 다시 분무기로 물을 충분히 뿌려 줍니다. 씨앗이 바람에 날아가거나, 씨앗의 수분이 증발하거나, 등의 방해 요소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너무 두껍게 휴지를 올려주지는 마세요. 새싹이 휴지를 뚫고 올라오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일단 최초 파종은 이렇게 간단하게 끝이 납니다. 이제 몇일 지나게 되면 싹이 나올 겁니다! 이후 과정에 대해서 계속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

[메추리 키우기] 스티로폼으로 정말 쉽게 부화기 만들기

미니 메추리 한 쌍을 기르고 나서는  거의 4일에 3번 정도 알을 낳고 있습니다. 가끔 휴란기를 짧게 짧게 갖는 경우도 있고요. 그 알 들이 처치 곤란이기도 하고, 부화시키는 것도 해보고 싶어서 부화기를 만들어야지.. 했는데  그놈의 스티로폼 박스를 구하지 못해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요 근래  같이 사는 순둥이와 오전 산책 중에 집 근처에 버려져 있는 박스를 발견했어요 ㅎㅎ (요놈이 순둥이 입니다 ㅎㅎ) 바로 들고 왔죠! 일단 물과 솔로 박박 닦아줬어요. 그리고 온도 조절을 위한 전구! 10w 정도로 샀는데, 일단 지금 쓰기에는 충분한 것 같아요. 관련 카페에서는 10w 2개를 쓰라고도 하는데요. 혹시 사용하다가 1개가 나가버리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일단 저는 1개만 달았어요. 간단히 그냥 스티로폼 옆에 칼 집을 약간 내어서 선을 끼웠습니다. 참 대충 했죠 -0- 그리고 또 중요한 것. 바로 전란인데요. 간단히 알을 굴려주는 거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알을 굴려주지 않으면  사람으로 치면 가만히 요지부동으로 누워있는 거라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이럴 경우 알 속의 배아가 튼튼하게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실제 야생에서도 어미 새가 굴리기도 하고 뒤척인다고 해요. 나무젓가락과 돌아다니는 박스를 조금 잘라 어설프게 만들었습니다;;; 정말 대충 만들었죠;;; 처음에는 알들을 몇개 넣어둔 뒤 뚜껑을 완전히 덮었는데요. 온도를 측정해보니 40도 까지 올라가더군요. 적정 온도는 37~39도 정도라고 해서 일단 살짝 열어두니 온도 조절이 조금 되는 상황입니다. 물통은 습도 조절을 위해 넣어두었...